그 동안 전국 광역시 중 유일하게 도시철도가 없는 곳이 '울산'이었다. 울산 트램 1호선은이 드디어 생긴다. 울산 수소트램으로 운영될 예정이다. 향후 울산 부동산 지형도를 바꿀 수 있는 정보가 될 수 있으니 살펴보자!
울산 대중교통 현황
- 울산은 동서지역 간 개발격차 심화로 인해 지역불균형이 발생됨
- 울산 내 교통문제에 그치지 않고, 부산광역시 등 인근 도시 간 교통문제까지 가중됨
울산 트램 필요성
- 현재 전국 광역시 중 유일하게 도시철도가 없음
- 트램 도입에 대한 시민의 강력한 요구
- 대중교통수송분담률 11%로 광역지자체 중 최하위 (2020년 기준)
- 수소 배관이 도심배관까지 연결돼 있어서 효율적으로 교통수단 구현 가능
실행방안
1. 기존철도망과의 유기적 연계
- 울산~양산 광역철도를 활용한 울산역(KTX) 연계
- 태화강역 연결을 통한 동해남부선(부산~울산) 연계
- 기존 철도망과의 연계 강화
2. 동서남북 간 및 도심 내부 이동 철도망 확보
- 남구, 중구, 북구, 동구 간 연결망 건설
- 순환망 구축을 통한 내부 이동망 확보
- 노선 간 공유를 통한 운영성 향상
3. 재정 현실을 고려한 실효성 있는 철도망 구축
- 경제적인 신교통수단 선정
- 단계별 건설 방안 마련
- 폐선의 적극적 활용(동해 남부선 폐선부)
울산 트램 노선계획
구 분 | 노선1 | 노선2 | 노선3 | 노선4 |
구간 | 태화강역~신복로터리 | 북울산역~야음사거리 | 효문역~대왕암공원 | 신복로터리~복산성당 |
연장 | 10.99km | 13.69km | 16.99km | 5.94km |
건설계획 | 1 단계('28년 개통 목표) | 2 단계(향후 추진) | ||
24.68km / 7,317억원(국 4,390 시 2,927) | 22.93km / 6,317억원(국 3,790 시 2,527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