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 시기를 거치고 최근 불황으로 취업이 어려워지며서 취업 또는 구직을 멈추고 집에서 은둔하는 니트(NEAT) 청년들이 많다는 뉴스 기사를 본 적이 있습니다. 오늘은 오랜 기간 취업 활동을 멈췄던 청년들이 총 300만원을 받으며 사회 복귀를 할 수 있는 지원 사업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!
담당기관
- 고용노동부(moel.go.kr)
정책
- 국민취업지원제도
목적
- 구직단념청년 등을 발굴하고 구직의욕 고취 및 자신감 강화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(*도전, **도전+) 제공하여 노동시장 참여 및 취업 촉진 지원
* 도전 → 단기(1~2개월) 프로그램
** 도전+ → 중․장기(5개월 이상) 프로그램
사업내용
- 구직단념청년 등 발굴·모집
- 사회활동 참여의욕 고취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·이수
- (이수시) 국민취업지원제도, 직업훈련 등 (취업시) 고용촉진장려금,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등 연계 지원
지원대상
⑴ 구직단념청년
① 6개월이상 취업 및 교육·직업훈련 참여 이력이 없고(고등학교 졸업(예정)자는 예외)
② 구직단념청년 문답표(서식16) 21점 이상(만점 30점)인 청년(만18~34세)
⑵ 자립준청년
- 아동복지시설 등에서 보호받고 퇴소한 자 중 퇴소 5년이내의 청년 또는 퇴소 대상자임에도 불구하고 퇴소일을 연장한 청년
⑶ 북한 이탈 청년
- 북한을 이탈한 자로서 만 18세~34세 청년
* 군사분계선 이북지역("북한")에 주소, 직계가족, 배우자, 직장 등을 두고 있는 자로서 북한을 벗어난 후 외국 국적을 취득하지 아니한 사람
※ 북한이탈주민등록확인서(민원24 발급 가능)를 제출하여 확인
⑷ 지역특화
- 공통요건 충족이 어려운 청년이라도 지원의 필요성이 있다고 인정받은 청년(단, 지자체별 지역특화 기준은 다를 수 있음)
* 지역특화 예시 : 보호시설(보육원, 보호관찰소 등) 독립 후 개인적 사정 등으로 국민취업지원제도 등 취업지원서비스 참여가 어려운 청년, 심리상담 등 관리가 필요한 청년, 생계형 아르바이트(주 30시간 미만 근로)청년, 경력단절여성, 폐업 자영업 청년, 대학졸업유예자, 대학장기휴학생 등
지원내용
- (구직단념청년 등) 맞춤형 프로그램 / 참여수당, 인센티브
- (운영기관) 프로그램사업비, 인센티브
구분도전 프로그램도전+ 프로그램
구분 | 도전 프로그램 | 도전+ 프로그램 | |
지원내용 | 구직단념청년 |
(인센티브) 이수시 50만원 | (참여수당) 250만원(월 50만원 × 5개월) (인센티브) 이수시 50만원 |
운영기관 | (프로그램사업비) 80만원 | (프로그램사업비) 400만원(월 80만원 × 5개월) (인센티브) 이수시 25만원, 취업 등 성과 연계시 25만원 |
'지원 > 일자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회사 홍보 + 대출 우대 = '청년친화 강소기업' (0) | 2023.09.06 |
---|---|
저학년부터 미리미리 준비하는 취업 '재학생 맞춤형 고용서비스' (0) | 2023.08.26 |
내 주변 '대학일자리(플러스)센터' 찾아 성공 취업 도전! (0) | 2023.08.25 |
최대 500만원 지원 받고 해외 취업 도전! '해외취업지원' 지원 대상 및 지원 내용 (0) | 2023.08.23 |
회사도 좋고! 청년도 좋고! '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' 신청 조건 및 신청 방법 (0) | 2023.08.23 |